심장 및 호흡기


울혈성 심부전

판막질환 : 
              승모판 질환과 같은 심장 판막의 변성 또는 이상은 소형견의
              울혈성 심부전의 일반적인 원인입니다.

확장성 심근병증 :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심장 근육이 약해지고 확대되어 심장 기능이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결국에 심부전으로 이어지는 상태입니다.

비대성 심근병증 :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심장 근육이 두꺼워져 심장이 효과적으로 림프질,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혈액 박출 하기 어렵게 만드는 상태입니다.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고양이의 심부전의 일반적인 원인입니다.(HCM)

심장사상충 질환 :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심장사상충이 유행하는 지역에서 이 기생충감염은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심장과 폐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켜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만성 신장 질환 :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장기간의 신장 질환은 체액 축적과 고혈압을 유발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울혈성 심부전에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기타 상태 : 
               고혈압, 당뇨병 및 일부 유형의 암과 같은 특정 기타상태는
               울혈성 심부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photo-1618939304347-e91b1f33d2ab.jpg


반려동물 울혈성 심부전 일반적인 임상 증상
호흡곤란 또는 숨 가쁨
복부 팽창(복수)
기침
실신
운동능력 저하
피로 또는 무기력
식욕저하
체중 감소


울혈성 심부전 치료 계획
  1. 이뇨제, ACE 억제제 및 베타 차단제와 같은 심장 기능을 개선하고 증상을 관리하는 약물
  2. 염분 섭취를 줄이고 체중을 관리하기 위한 식단 변화
  3. 중증 호흡 곤란에 대한 보충 산소 요법
  4. 체액 균형 및 혈압 모니터링 및 관리
        - 경우에 따라 심장 판막을 성형 또는 클립 판막 교정술 기타 구조적 이상을 해결하기 위해 외과수술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.(현재 일본, 미국에서 시행 됨)
20230427_175329.gif
20230427_175428.gif
20230427_165919.jpg


울혈성 심부전 정기검진 주기
혈액, X-ray, 심장 초음파 검사는 일반적으로 3~6개월마다 정기적으로 
모니터링하여 장기 기능과 전해질 수준을 평가하고 
필요에 따라 약물 용량을 조정해야합니다.
20230427_165722.jpg
20230427_165704.jpg


울혈성 심부전 진행시 나타나는 합병증
  1. 폐부종(폐에 체액 축적)
  2. 부정맥(비정상적인 심장 박동)
  3. 혈전색전증(혈전)
  4. 신장 또는 간 기능 장애
  5. 2차 감염


울혈성 심부전 합병증 예방
  1. 2차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 
  2. 규칙적인 운동, 체중관리치과 치료와 같은 사전 조치뿐만 아니라 
  3. 심부전 증상 및 약물 요법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포함 될 수 있습니다